산업소개

화장품 시장정보

해외시장뉴스

코트디부아르, 확대일로의 블랙뷰티 시장을 잡아라!

첨부파일

등록일 2019-04-10

조회수 4020

코트디부아르, 확대일로의 블랙뷰티 시장을 잡아라!
2019-04-09 이연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무역관

- 코트디부아르 여성의 미에 대한 관심 증가로 화장품/뷰티제품 수요 증가세 -

- 메이크업 제품, 수입산에 대한 선호도 높은 가운데 미백 관련 기능 선호도도 증가 -

- 품질 및 가격경쟁력은 물론 현지화 노력을 통한 시장 진출 모색 필요 -
 

□ 개요  

  o 코트디부아르 화장품/뷰티제품 시장 규모는 ‘’16년 기준 2억 2,600만 달러로 추정되며 최근 수년간 성장세를 나타냄.

    - 특히 외국산 선호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일부 설문조사에 따르면(www.cFAO-fmcg-agri.com)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외국제품을 23%는 현지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답함.

 

  o 2015년 “Black Beauty Fair”라는 뷰티산업 전문 행사가 정례화되면서 해당 산업 최신 트렌드는 물론 화장품/뷰티산업 관련 종사자들의 정보 교류의 장이 되고 있음.

 

Black Beauty Fair(Foire de la beauté noire) 현장 1

  

 자료 : http://www.leschroniquesdesapitou.com

 

Black Beauty Fair(Foire de la beauté noire) 현장 2

자료 : https://ayanawebzine.com 

□ 수입시장 현황

 

  o 2018년 기준 화장품 수입은 전년 대비 7.1%를 기록했으며 특히 한국산 수입은 1.796%의 급격한 성장세 기록했으나 순위상으로는 29위로 시장 확대 여지가 남아 있음.

 

 

화장품 수입 현황(HS 3304) /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율

 

전체

6,780

6,922

9,640

8,476

9,077

7,1

1

프랑스

2,759

2,522

5,331

4,122

4,860

17.9

2

이탈리아

165

441

546

626

743

18,7

3

중국

269

346

674

979

618

-36.9

4

가나

447

85

107

179

553

209.5

5

독일

176

249

357

468

494

5.6

6

미국

394

456

439

253

331

31.0

7

인도

263

217

510

-

285

-

8

세네갈

279

61

104

133

199

49.8

9

스페인

332

331

369

300

154

-48.7

10

나이지리아

45

179

140

111

84

-24.5

29

한국

-

0.0081

37

0.472

9

1795.6

자료 : Global Trade Atlas

 

 

 

 

□ 일부 뷰티/화장품/케어 제품은 현지 생산 및 수출

 

  o 두피/헤어케어 제품샤워/목욕용품 등의 경우 현지 생산을 통한 서아프리카 지역 수출도 활발한 편

 

  •     - 주요 수출대상국은 가나, 나이지리아토고부르키나파소말리 등이며 사하라 이남 지역의 국가에 대한 수출이 높다는 점은 이 지역 제조기지로도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음.

  •  

코트디부아르 화장품/뷰티제품(HS 3304)주요 수출대상국 현황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율

1

가나

36,382

33,647

40,888

40,501

50,327

24.3

2

나이지리아

43,049

37,839

33,756

35,086

34,430

-1.9

3

토고

7,457

7,547

6,679

8,975

15,162

68.9

4

부르키나파소

10,719

12,017

15,318

15,919

15,101

-5.1

5

말리

5,181

5,938

6,992

8,743

8,999

2.9%

자료 : Global Trade Atlas

 

  o 바디제품의 경우 수입에 비해 수출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나 이 부문 현지 생산이 강점을 지닌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바디케어 제품(HS 330499) 수출입 현황 /  (단위 : 천 달러, %)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율

수입

6,052

5,814

7,782

6,734

7,412

10.1

수출

136,605

130,084

133,296

150,153

164,919

9.8

자료 : Global Trade Atlas

 

  o 반면 메이크업 제품, 포장재원료화장도구 등 소모품 등은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시장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현지 생산에 필요한 원료나 포장재 관련 수요는 증가할 전망

  •     - 또한 스킨케어에 비해 메이크업 제품, 색조화장품에 대한 수입 수요가 높은 편이며화장/뷰티케어 관련 소모품 수요 전망도 밝은 편

 

 제품군별 수입 현황 / (단위 : 천 달러, %)
  

제품군(hs code)

 

2014

2015

2016

2017

2018

17/18 증감율

립 제품

(330410)

수입

194

291

475

525

343

-34.6

수출

0.0005

0.012

0.025

0.051

0.187

266.7

매니큐어/패디큐어(330430)

수입

99

215

339

499

507

1.6

수출

2,073

1,591

1,704

812

576

-29.1

아이 메이크업

(330420)

수입

223

285

363

275

309

12.2

수출

0.337

18

0.057

0.112

0.376

235.7

자료 : Global Trade Atlas

 

word_image

 

word_image

 

  o 립스틱, 마스카라아이브로우 펜슬파운데이션/파우더 등의 색조화장품 제품에 대한 수입 수요가 다른 제품군에 비해 높은 편

   - 반면 매니큐어나 페디큐어의 경우 현지 생산 및 수출이 증가하면서 수입 수요가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 특히 색조화장품은 현지 생산품에 비해 외국산의 품질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당분간 수입시장 확대는 지속될 전망

 
□ 현지 생산을 비롯한 경쟁 현황

 

  o 다른 제품과 유사하게 프랑스 식민지였다는 역사적 배경 탓에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아울러 코트디부아르 소비재 시장, 특히 유통 부문을 장악하고 있는 레바논계 기업들이 화장품/뷰티 분야에서도 강세를 나타냄.  

  • 최근 아시아 수입제품의 증가세도 눈에 띄는 가운데 현지 생산 역시 활성화되는 추세임.

 

  o La Nouvelle Parfumerie Gandour, SIVOP, COPACI 등 3개 기업이 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코트디부아르 3대 현지 화장품 브랜드

회사명

SIVOP

SICOBEL

JM-COSMETIQUE

기업 로고

 

생산제품

미백제품

각질제거

디제품

헤어제품

- FLUORYL(치약)

- CLARABEL(디로션)

- EBENE(헤어제품)

- L’OREAL  11 브랜드 제품 생산

마스크팩

로션오일비누

특징

원료는 미국유럽(독일)에서 수입함.

나이지리아중국에서 SIVOP 위조품을생산, 대량 수입해 정품 인증 노력 중

프랑스 대형 유통사 CFAO에서2015년에 매수함.

천연 원료로 화장품 제조

창립일

1985

1971

-

자료 : 무역관 조사업체별 홈페이지

 

화장품/뷰티 부문 주요 제조/유통업체 현황

업체명

주소

연락처

AGRISUD BLACK BEAUTY

Rue Sylvestre, Zone Industrielle Vridi

15 BP 430 Abidjan 15

+225 2127 5731

APHRODISIA

Abidjan Zone 4 Bd de Marseille, Centre Commercial Les Clarisses Face Kastouprix

+225 0830 5757

BVC(BEL VIE COSMETIQUE)

Zone Industrielle de Yopougon

3567 Abidjan 05

+225 2352 7127

COPACI

Yopougon, Zone Industrielle 11 BP 2390 Abidjan 11

+225 2346 6553

COSMETIQUES ET PARFURMS DE COTE D’IVOIRE

Zone Industrielle Yopougon 01 BP 8576 Abidjan 01

+225 2346 6509

GREY DE KOUROUN COTE D’IVOIRE

Zone Industrielle Yopougon 01 BP 6512 Abidjan 01

+225 2346 6028

GROUPE IVOIRIEN DE COSMETIQUE & DE PARFUMERIE

Rue Centre Social-Niangon Sud, Yopougon 03 BP 2404 Abidjan 03

+225 2351 4446

H. COSMETIQUES

Gare Sud-Cocoteraie 125, Ilot 9-Abobo 09 BP 1886 Abidjan 09

+225 2439 5684

NOUVELLE PARFUMERIE GANDOUR COTE D’IVOIRE

01 BP 4387 Abidjan 01 Zone Industrielle, Yopougon

+225 2351 5220

PARFUMERIE INDUSRIELLE ET COSMETIQUE EN CI

Zone Industrielle, Yopougon 03 BP 723 Abidjan 03

+225 2350 5604

PICOS COTE D’IVOIRE

Zone Industrielle, Yopougon 03 BP 723 Abidjan 03

+225 2350 5603

RORIS

Zone Industrielle, Yopougon 04 BP 1282 Abidjan 04

+225 2346 6296

SIPARCO COTE D’IVOIRE

01 BP 906 Abidjan 01 Boulevard De Vridi, Quartier Hino

+225 2125 5970

SOCIETE INDUSTRIELLE DE PARFUMERIE ET COSMETIQUE

21 Abidjan 2959 Abidjan 21 RC : Ci-abj-2005-b-1775

+225 2350 3828

SOCIETE IVOIRIENNE DE PARFUMERIE(SIVOP)

Zone Industrielle, Yopogon 01 BP 2085 Abidjan 01

+225 2351 5300

TRADE CARRIAGE INTERNATIONAL

Avenue Jean-Paul li-Immeuble CCIA Plateau 03 BP 3320 Abidjan 03

+225 2022 0514

JIM COSMETIQUES

Marcory Grand marché en face de la Banque BICICI

+225 2126 9456                       

자료 : http://business.abidjan.net

 

  o 프랑스 거대 재벌 로레알(L’Oréal) 등을 비롯, 2015년부터 유명 브랜드/기업들이 연달아 진출

  •     - 동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로레알은 SICOBEL이라는 브랜드를 인수하여 화장품 부문에 진출한 쎄파오(CFAO) 2015년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진출코트디부아르 시장의 잠재성을 입증

  •     - 같은 해 색조화장 전문 글로벌 브랜드인 맥(MAC)과 샤넬(CHANEL) 역시 진출하였으며 2016년에는 바디/헤어케어 전문 브랜드인 이브로셰(Yves Rocher)와 아르깡씰(Arcancil)이 뒤를 이어 진입

  •     - 미국계 글로벌 브랜드인 에스티로더(Estée Lauder)는 올해 시장 진입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   o 동 분야 현지 유통채널은 기존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지역/거리 판매와 비교적 최근 도입된것으로 전문 유통업체/매장을 통한 방식 등 두 가지로 구분

    •     - 전자의 경우 판매상들은 주로 여성으로 전통 시장이나 길거리에서 가판대에 제품을 늘여 넣고 손님을 유인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며, 종종 불법 복제품을 판매하여 문제가 되기도 함.

    •     - 후자의 경우 주로 수입품을 취급하는 방식으로 화장품 제조 혹은 유통업체들이 대형 유통매장이나 전문 매장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며, Cap Sud, Playce Carrefour, Abidjan Mall 등의 쇼핑센터에서 찾아볼 수 있음.

     

    화장품/뷰티 제품 유통매장/전문매장 현황

  • 매장명

    위치

    연락처

    ABIS COSMETICS

    Treichville face au grand marché

    -

    CATALYSE BEAUTE SANTE

    Treichville, au marché de Belleville

    +225 2124 2203

    CHANEL

    Cap Sud, Boulevard VGE, Zone 4

    +225 2124 6047

    EUCALYPTUS

    Centre Sportif Le Calao, Marcory Zone 3

    +225 2125 8494

    H COSMETICS

    Abobo PK 18 Nouvelle gare et N’DOTRE

    +225 2021 1960

    HALL DE LA BEAUTE

    Rue du commerce et Cap Sud

    +225 5585 3619

    INGLOT COSMETICS

    Cap Nord, Riviera 3

    Cap Sud, Zone 4

    +225 7889 2894

    +225 7777 5711

    L’OREAL

    Cap Sud, Bd. VGE, Zone 4

    +225 6730 2919

    M.A.C COSMETICS

    Cap Sud

    +225 2124 3914

    NATURE & TRADITION

    Les Perles, Cocody

    +225 7963 2313

    NOUVELLE PARFUMERIE GANDOUR

    Zone Industeille Yopougon

    +225 32 77 2160

    SIVOP : PARFUMES & COSMETIQUES

    Zone Industrielle Yopougon

    +225 2351 5300

    TIMITE & SONS

    Rue des Jardins

    +225 2241 1682

    +225 7151 5111

    YVES ROCHER

    Prima Center, Marcory Zone 4

    +225 0807 0723

    +225 0807 2748

    ZINO

    Rue des Jardins, Deux Plateaux, Vollon Cocody

    +225 2251 0509

    +225 2251 0510

    자료 : KOTRA 아비장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 현지 유통 주요 제품 현황

     

      o 현지 판매량 및 순위 등을 집계한 통계자료가 사실상 부재하여 정확한 정보 입수가 어려운 가운데 화장품에 관심이 많은 여성이나 종종 현지 매체를 통해 파악 가능한 정보를 종합하면 현지 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음.

    •     - 스킨케어 제품군에서는 니베아(Nivea), 믹사(Mixa), 도브(Dove) 등의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참고로 코트디부아르 여성들은 보습클렌징영양 등의 기초 스킨케어보다는 메이크업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임.

    •     - 색조화장품군에서는 글램(Glam’s), 메이블린(Maybelline), (MAC) 등이 유명한 편이며카일리(Kylie), 아르깡씰(Arcancil), 레블론(Revlon), 잉글로(Inglot) 등도 인기를 얻고 있음.

     

      o 화장품/뷰티제품 구매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은 가격 및 가성비로 나타남.

  •     - 스킨케어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만큼의 구매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당장의 미용 효과를 볼 수 있는 메이크업 제품 구매에 집중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품질을 따지지 않는 것은 아님.

     

    현지 유통 브랜드/제품 예시

     
     

     

     

                                 

     
     

     

     


    자료 : KOTRA 아비장무역관 자체 촬영

     

    현지 유통 브랜드/제품 가격 예시 / (단위 : CFA(미 달러)

     

    제품/브랜드

    Glam’s

    Maybelline

    MAC

    립스틱/글로스

    6,300~10,000(10.84~17.21)

    7,600~8,200

    (13.08~14.11)

    14,500~19,500

    (24.96~33.56)

    파운데이션

    5,000~10,000

    (8.60~17.21)

    5,250~13,800

    (9.04~23.75)

    24,500~30,000

    (42.17~51.63)

    마스카라

    7,000~11,000

    (12.05~18.93)

    5,250~7,500

    (9.04~12.91)

    19,500

    (33.56)

    아이라이너

    5,000

    (8.60)

    2,800~7,600

    (4.82~13.08)

    7,000~14000

    (12.05~24.09)

    아이브로우펜슬

    10,000

    (17.21)

    4,500~6,800

    (7.4~11.70)

    12,500

    (21.51)

    아이섀도우

    8,500

    (14.63)

    13,000~21,750

    (22.37~37.43)

    13,500

    (23.23)

    매니큐어

    3,000

    (5.16)

    3,500

    (6.02)

    -

     

  •  

                                         
  • 자료 : KOTRA 아비장무역관 자체 조사

  •  

     

    □ 결론 및 시사점

     

  •  

     현지 여성들의 미에 대한 관심  구매력 확대로 화장품 시장 수요는 꾸준히 확대될 전망

    • 특히 서아프리카의 관문  테스트베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곳에서 인정을 받은 제품은 인근 국가로의 진출도 용이할 것으로기대됨.

    •  

     ㅇ 소비자 특성 및 경제력의 영향으로 현재로서는 당장의 효과를 볼 수 있는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수요와 구매가 높은 편이나 추후 미백보습 등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전망

    •     - 특히 하얗고 투명한 피부를 갈망하는 소비자들의 기호가 두드러지면서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피부 관리에 필수인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도 상승할 것으로 기대됨.

    •  

    •   o 현지 시장의 잠재성을 반영하듯 세계적인 유명 브랜드들이 속속 진출하는 가운데 한국 화장품의 인지도는 낮으나 가능성을 무기로 도전할 필요는 충분

    •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아직은 한국산 화장품/뷰티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낮으나 전반적으로 품질이 우수하다는 이미지를 갖고 있음.

    • 다만 일반 소비자들에게 알려진 브랜드나 제품이 없다는 점이 약점으로 향후 다른 소비재와 함께 한국제품의 품질 대비 가격에 대한 공격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 이 경우 테스트용의 소량 주문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이를 수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 

    •     - 또한 한국 기업들이 강점을 보이는 미백·주름개선·노화방지·수분공급 등 기능성 화장품과 고급스러운 색상의 아이섀도우 및 헤어제품을 필두로 틈새시장 공략을 꾀해 볼 만 함.

     

  •   ㅇ 한국제품에 대해 일각에서는 피부가 다른 흑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을 감안이 지역 인종들의 피부 타입을 반영한 현지화된 제품 개발/출시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

  •  

  •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 소용량 제품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출품 패키징 시에는 한국에서 활용되는 용량보다 적은 용량 및 이를 반영한 패키징 가능성도 타진해 볼 필요가 있음.

     

  • 자료원 :  www.rti.ci, Global Trade Atlas, www.abidjan.net각 업체별 홈페이지, Le Monde, Fraternité Matin, https://export.businessfrance.fr , 아비장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