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소개

화장품 시장정보

해외시장뉴스

이란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동향

첨부파일

등록일 2019-09-17

조회수 4600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동향

2019-09-16 이상훈 이란 테헤란무역관

- 이란 내 한국 스킨케어 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고품질, 합리적인 가격 -

- 미국의 이란 제재로 이란 소비자 구매력 저하, 기존 유럽산 수요 대체로 한국산에 관심 -  

 

 

 

□ 상품명, HS Code(6단위)

  ㅇ 상품명: 스킨케어 화장품

  ㅇ HS Code(6단위): 330499

 

□ 시장규모, 시장동향


  ㅇ BMI 리서치에 따르면, 스킨케어 등 퍼스널 케어 전체시장은 2018년 기준 43억 달러이며, 2020년 52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이란 화장품 협회(The Iranian Association of Cosmetics)에 따르면, 이란의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소비량은 사우디에 이어 중동지역내 2위를 차지함.

  ㅇ 이란 주요 일간지 Financial Tribune에 따르면, 이란 퍼스널 케어 시장 내 스킨케어 제품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 소비자는 15세 이상의 이란 여성임.
    - Gallup 연구소에서 이란 직장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수입의 30%를 화장품, 세면기, 피부 및 보디케어 제품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남.
    - 또한, 이란인 가구 연간 수입의 거의 4.5%가 화장품과 스킨케어 제품에 지출되고 있으며, 이는 독일 1.5%, 영국과 프랑스 1.7%, 이탈리아 3%에 비해 높은 수치임.
    - 대기오염 등 환경변화에 따라 피부 노화 시기가 빨라져 피부 탄력 및 영양 공급이 스킨케어 제품 수요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

 

  ㅇ 현지 컨설팅 업체 Aryan Experts에 따르면, 이란 스킨케어 화장품은 순수 국내 브랜드생산량이 전체 공급량의 약 20%로 저조하며 대부분 외산브랜드 라이선스 생산 혹은 완제품 수입을 통해 수요를 충족하는 구조
    - 최근 하이퍼 마켓과 같은 새로운 소매 유통채널이 확장되며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이란의 스킨케어 화장품 전체 수입액은 지난 2016-2018년까지 3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2018년 UAE는 전체 수입액 가운데 약 3,550만 달러를 기록, 39.07%의 점유율로 상위 10개국 중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UAE가 역내 재수출 기지 역할을 하는데 기인
    -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약 2,999만 달러, 545만 달러로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

 

이란의 스킨케어 화장품 수입액 동향(HS code: 330499)

국가명

미국 달러(USD)

점유율(%)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2018/2017

전체

53,503,336

76,701,386

90,886,115

100.00

100.00

100.00

18.49

UAE

23,897,453

33,048,925

35,505,124

44.67

43.09

39.07

7.43

프랑스

11,512,095

19,849,924

29,993,773

21.52

25.88

33.00

51.10

독일

2,490,224

3,108,177

5,458,103

4.65

4.05

6.01

75.60

스위스

1,143,071

1,680,051

4,077,801

2.14

2.19

4.49

142.72

터키

6,420,223

5,804,800

3,187,106

12.00

7.57

3.51

- 45.10

한국

1,179,208

1,903,968

3,166,841

2.20

2.48

3.48

66.33

이탈리아

1,228,800

3,581,188

1,989,115

2.30

4.67

2.19

- 44.46

스페인

402,721

634,169

1,805,984

0.75

0.83

1.99

184.78

폴란드

812,562

1,308,607

1,379,859

1.52

1.71

1.52

5.44

기타(NES국가)

0

433,434

898,504

0.00

0.57

0.99

107.30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의 스킨케어 화장품 수입액은 지난 2016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2018년에는 약 316만 달러 수입액을 기록하여 66%의 증감률을 보이며 전체 6위를 차지, 이란 내 수입시장 점유율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ㅇ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인해 유럽산 스킨케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이를 대체할만한 질 좋고 가격이 적절한 한국제품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이란 내에서 한국제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임을 보여 줌.

 

대한 스킨케어 화장품 수입액 동향

HS Code

상품명

미국 달러(USD)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330499

스킨케어 화장품

1,179,208

1,903,968

3,166,841

66.33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품질 및 선호도의 측면에서 유럽 제품이 우위에 있지만, 최근 이란 소비자들의 구매력 하락에 따라 한국, 중국 등 아시아권 국가의 합리적 가격 및 품질의 제품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

 

  ㅇ 미국의 대이란 제재가 복원된 후, 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수입규제가 복잡해져 많은 이란 현지 기업이 외국 업체의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판매하고 있음.

 

  ㅇ 현지 현지 주요 컨설팅업체 Aryan Experts에 따르면, 외산 브랜드 밀수를 제외하더라도 외산 브랜드의 현지 시장점유율은 70%를 차지, 이 중 프랑스와 독일이 현지 라이선스 생산량 포함 전체 수입 브랜드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
    - 주요 현지 브랜드는 Cincere, My, Servita, Seagull, Ellaro 등이 있으며 주로 프랑스 기업과 기술제휴 및 라이선스 취득을 통해 현지 공급
    - 주요 외산 브랜드는 Loreal(프), Bioderma(프), Nivea(독), Eucerin(독), Uriage(프) 등이 있으며 프랑스와 독일 브랜드에 높은 충성도를 보이고 있음.


□ 유통구조

 

  ㅇ 이란 현지 수입업체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스킨케어 제품의 유통구조는 아래와 같음.

자료원: KOTRA 테헤란무역관

 

  ㅇ 주요 소매업체: 온라인 쇼핑몰, 체인점 및 하이퍼 마켓, 현지 마트, 전통시장(버저르) 등

 

□ 관세율 및 부가가치세

 

  ㅇ 최근 이란 관세청에 의해 발표된 수출입 규정에 따르면, 스킨제어 제품(HS code: 330499) 수입세액, 특혜관세 및 부가가치세는 아래와 같음.

HS 코드

수입 관세

특혜관세

부가가치세(VAT)

330499

26%

1%

9%

자료원: 이란 관세청(Trade Promotion organization of Iran Import-Export Regulation act Book)

 

□ 수입규제 및 인증

 

  ㅇ 이란 보건부의 담당자 F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란 내 화장품 수입 시 제품에 따라 1~3년 사이에 기술이전 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서면 정보는 없으나, FDA는 기술이전 계획 없이 등록 요청을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ㅇ 이란 보건부내 내 제품 등록 기간은 대략 1년 이상 소요되며 아래의 서류 준비 필요 (자료원 : 이란 보건부)
    - LOA(Letter of Authorization)
    -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인정서(GMP Certificate)
    - 자유 판매 증명서
    - 위생증명서(Health Certificate)-BSE/TSE free and safety for human consumption
    - 분석증명서(Certificate of Analysis)
    - PMF(Product and Plant Master file)
    - 할랄 인증서(Halal Certificate)
    - 안전 증서(Safety Certificate)

 

□ 이란 현지 업체 인터뷰

 

  ㅇ A사
    - 이란의 화장품 업계는 수요가 가장 큰 시장이지만, 현재 대이란 제재로 인해 많은 외국 업체들이 이란 시장 진출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임.
    - 외국 업체는 이란 MOH에 화장품 제품 등록을 위해 적절한 현지 에이전트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는 유통채널 발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함.

 

  ㅇ L사
    - 현 제재 시점에 이란 시장 내 외국 브랜드가 부족하여 현지 제조업체가 대부분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임.
    - 동사는 한국 제품에 관심이 있으며 자사만의 유통채널이 있어 합작투자 관련 우리 기업과 협업할 의향이 있다고 언급함.

 

  ㅇ N사
    - 동사는 현 이란 상황을 이용하여 화장품 시장 내 생산라인을 확장시키려고 하며 이러한 제재 상황에 발 빠르게 움직인다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함.
    - 동사는 현재 유럽업체들과 협상 중에 있으며, 화장품 업계 내에서 유명한 프랑스와 한국 제품에 관심이 있어 추후에 협업을 할 의향이 있음.

 

  ㅇ K사
    - 동사는 최근 프랑스 업체에 LCW 등과 같은 기술적 자문을 통해 이란 시장에 화장품, 스킨케어, 헤어 관련 제품을 다루는 브랜드 출시한 바 있음.
    - 구매력이 높은 가구는 여전히 유럽의 고급 브랜드를 선호하지만, 평균 소득 이하의 가구는 현지 생산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이란 내 빈부격차는 심한 편.
    - 중간층을 위한 적절한 가격 및 품질의 한국, 중국 제품이 수입된다면 높은 시장 점유율 차지할 가능성 큼.

 

□ 시사점

 

  ㅇ 이란의 한국 스킨케어 화장품 수입액은 지난 2016-2018년까지 3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올해 약 316만 달러 수입액을 기록하여 66%의 증가률을 보임.
    - 이란 내 한국 화장품 품질에 대한 전반적 인식이 긍정적이며 유럽산 제품에 비해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란 시장 진출 시 성공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

 

  ㅇ 미국의 대이란 제재에도 불구하고 이란 현지 업체들은 추후 외국 업체와 거래 가능성을 열어두고 꾸준히 검토 중이며 우리 기업의 현지 에이전트를 희망하는 업체가 많음.

 

  ㅇ 스킨케어 제품은 현재 이란 시장 내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추후 대이란 제재가 호전될 상황을 대비해 지속적인 시장 조사 및 현지 바이어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 수집이 필요

 


자료원: 이란 관세청, 이란 보건부, Financial Tribune, Aryan Experts, Global Trade Atlas, BMI, 현지 수입업체 인터뷰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