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소개

화장품 시장정보

해외시장뉴스

쿠웨이트 화장품 시장, K-Beauty 강세

첨부파일

등록일 2024-05-13

조회수 725

쿠웨이트 화장품 시장, K-Beauty 강세

  • 트렌드
  •  
  • 쿠웨이트
  •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 2024-05-07
  •  
  • 출처 : KOTRA

Keyword#쿠웨이트 #중동 #화장품 #K-Beauty #한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시장 규모 꾸준히 성장중

'22년 한국은 쿠웨이트의 제4위 화장품 수입국

쿠웨이트 뷰티 시장 동향

 

쿠웨이트의 뷰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시장 규모는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약 7억불의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퍼스널케어 제품을 제외하고는 스킨케어 품목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기타 화장품과 향수가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쿠웨이트 뷰티 & 퍼스널케어 시장 규모 추이>

[자료: Statista, 2024년 3월 기준]

 

쿠웨이트는 고온 건조한 사막기후로 여름철 기온이 50도를 웃돌아 매우 뜨거우며 연중 강수량이 많지 않은 기후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케어, 선크림 등에 대한 관심이 높고 남녀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기타 품목에 비해 소비량이 많은 편이다.

 

한편 쿠웨이트 여성들의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관심도도 상당히 높다. 쿠웨이트 자국민의 경우 소득 수준이 높기 때문에 가격 보다는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를 우선하여 소비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유럽의 하이엔드 브랜드가 다수 진출해 있으며 최근 들어 K-Beauty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 브랜드들의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 화장품을 전문적으로 수입 및 유통하고 있는 현지 바이어 G사의 상품구매 담당자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한국 브랜드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했다. 한국 제품은 품질이 좋고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이미지로 좋은 평판을 얻고 있으며 K-Beauty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 며 올해 한국 제품 수입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쿠웨이트 화장품 수입 동향

 

Trade Map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은 쿠웨이트의 제4위 화장품 수입국이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는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22년 수입액은 전년대비 약 50% 증가했다. 2018년 9위 수입국이었던 것에 비하면 눈에 띄게 대한 수입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위 수입국인 프랑스는 5년 연속 1위를 기록했으며 UAE, 미국, 이탈리아, 독일 등이 뒤를 잇는다. 아시아 국가중에서는 한국이 1위, 중국이 8위를 기록했다.

 

<쿠웨이트 화장품(HS Code 330499)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 US$ 천)

순위

수입국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전체

186,555

207,411

193,649

214,486

224,834

1

프랑스

42,297

41,421

30,597

42,276

45,442

2

UAE

21,926

28,737

23,833

26,586

30,438

3

미국

23,961

31,621

24,499

22,563

26,052

4

한국

4,523

7,900

6,660

12,077

17,989

5

이탈리아

8,916

9,774

7,408

10,944

13,510

6

독일

15,882

15,595

15,173

11,185

11,323

7

폴란드

5,995

5,858

9,678

9,102

9,252

8

중국

6,028

6,783

4,166

4,566

8,906

9

스위스

5,522

4,662

5,243

6,791

8,153

10

스페인

4,481

4,668

4,043

5,750

5,889

[자료: Trade Map]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기가 지속되면서 쿠웨이트 내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있다. 중동 최대 뷰티 이커머스 플랫폼인 Boutiqaat에서는 'Korean Beauty' 전용관을 운영중이며 다양한 한국 브랜드 제품을 종합적으로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도 성황리에 운영중이다. 올해 초에는 쿠웨이트 최대 복합 쇼핑몰에 스킨푸드 오프라인 매장이 최초 입점되기도 하는 등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Boutiqaat 한국 화장품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자료: Boutiqaat 공식 홈페이지]

 

관세

 

쿠웨이트는 화장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5%의 일반 관세를 징수하고 있다. 물품의 비용, 보험 및 화물 가격이 포함되며, 자국 내 산업에서 제조된 상품과 경쟁하는 수입품에 한해서만 최대 25%까지 높은 보호 관세를 부과한다.

 

수출 필요 서류 및 절차

 

해외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화장품은 쿠웨이트 보건부(Ministry of Health)의 제품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해당 등록 및 인증 절차는 수입업체인 쿠웨이트 로컬 에이전트가 대리로 진행하며 수출업체는 에이전트사에게 보건부에 제출해야 할 필수 서류를 제공해야 한다.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다.

 

1

에이전트 계약서

ㅇ 한국 수출 기업과 쿠웨이트 수입 기업(바이어) 간 관계를 증명하는 에이전트 계약서

ㅇ 대한상공회의소 및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의 공증 필수

2

자유 판매 증명서

(Free Sale Certificate)

ㅇ 제조사 및 유통사의 회사명과 주소, 제품명이 포함돼 있어야 함

ㅇ 대한화장품협회에서 발급 가능, 외교부 영사 확인 및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 공증 필수

3

GMP 또는 ISO 인증서

ㅇ 사본

4

성분증명서

ㅇ 전 성분에 대한 설명 및 정확한 비율이 기재된 성분표

ㅇ 제조사의 서명 및 직인이 날인된 레터헤드를 사용

5

 BSE Free 증명서

ㅇ 광우병을 유발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첨가물이 포함돼 있지 않음을 증명하는 서류

ㅇ 제조사 발급 후 대한상공회의소 및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 공증 필수

 * 쿠웨이트 보건부에서 제시하는 BSE 첨가물 예: elastin collagen, ceramides, glycosaminoglycans, liver extracts, lung extracts, glycerophospholipids, hypothalamus, bone marrow extracts, spingolipid, tonsil, animal proteins, RNA, DNA etc.

6

안전인증서

ㅇ 코르티손(Cortisone), 호르몬 또는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안전함을 증명하는 서류

ㅇ 제조사의 MSDS(Matarial Safety Data Sheet) 양식도 활용 가능

7

원산지증명서

 -

 

위의 서류 준비가 완료되면 쿠웨이트 에이전트(바이어)에게 서류 원본과 보건부 테스트를 위한 샘플 제품을 보내야한다. 샘플은 제조번호, 제조일자, 유통기간이 포함돼 있어야 하며 제품 포장은 영어 또는 아랍어로 표기해야 한다. 제조사의 이름 및 원산지 정보도 필수 표기 사항이다. 이후 에이전트는 자사 커버레터와 함께 동 서류들 및 샘플을 쿠웨이트 보건부에 제출하며 등록 절차를 진행한다.

 

쿠웨이트 보건부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본 수출 진행이 가능하며 통상 승인을 받기까지 3~6개월 가량이 소요된다. 에이전트의 역량에 따라 등록 기간이 더 짧아지거나 길어질 수 있으므로 에이전트 계약 시 화장품 수입 경험 유무 등을 미리 파악하고 적합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쿠웨이트 보건부, Statista, Trade Map,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