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소개

화장품 시장정보

해외시장뉴스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 동향

첨부파일

등록일 2024-05-13

조회수 677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 동향

  • 상품DB
  •  
  • 아제르바이잔
  •  
  • 바쿠무역관 조계권
  •  
  • 2024-05-08
  •  
  • 출처 : KOTRA

Keyword#아제르바이잔 마스카라 K-Beauty

K-Beauty가 주류가 된 아제르바이잔의 시장 동향

 

눈 화장품은 아제르바이잔 뿐만 아니라 이슬람 국가의 여성들에게 문화적 및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눈 화장품은 아제르바이잔의 여성들 사이에서 항상 인기가 있었고 이러한 인기는 상승하고 있으며 제품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은 여러 수입품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 층 및 공급자가 서로 어우러져 경제학 교과서에서 얘기하는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 HS 코드와 관련 세금 >

HS 코드

구분

VAT (%)

관세 (%)

330420

눈 화장용 제품류

18

15

 

 

시장 동향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 성장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눈 화장품은 아제르바이잔 여성의 삶에서 전통, 문화, 아름다움, 자기 표현 등 다방면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노동자 계층에서 여성이 크게 늘어난 것도 제품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 2022년 기준 취업자 수는 490만1100명, 이 중 여성은 234만4600명(47.8%)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제르바이잔에서 마스카라는 개인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아제르바이잔의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생긴 속눈썹을 선호하는 편이다.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은 크게 일반품, 방수제품, 방수 타입으로 구분되어 있다. 아제르바이잔에서 현지 여성들이 선호하는 마스카라 유형은 속눈썹 연장, 볼륨, 컬링과 방수 기능이 있는 제품이다.

 

아제르바이잔에서 색조 화장품 제조는 발달 된 산업이 아니며 소비자들은 좋은 품질과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찾고 있으며 시장에서 아제르바이잔 국산제품은 없으며 외국에서 수입되는 제품만이 경쟁하고 있다.

 

 

수입 동향

 

< 2019년-2023년 마스카라 제품의 수입시장 규모 >

(단위 : US$, 톤)

[자료: 아제르바이잔통계청]

 

마스카라는 HS 코드 330420으로 아제르바이잔에 수입되며, 2023년 상위 3대 수입국은 중국, 이탈리아, 폴란드였다. 2023년 해당 HS 코드 총 수입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3.64%였으며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18%로 수입국 순위 8위를 차지하고 있다.

 

< 2023년 -2024년HS코드 330420 수입현황 >

(단위: US$ 천, 톤)

순번

2023년

2024년 1-3월 (누적 기준)

국가

금액

수량

국가

금액

수량

1

중국

1,311.22

178.52

이탈리아

245.19

1.91

2

이탈리아

1,214.29

9.18

중국

147.64

18.54

3

폴란드

583.39

10.79

독일

51.99

0.91

4

독일

390.51

5.39

프랑스

42.84

1.09

5

튀르키예

369.20

22.21

튀르키예

42.6

3.69

6

러시아

302.83

6.91

러시아

41.56

0.84

7

프랑스

236.71

1.86

폴란드

38.9

0.49

8

한국

176.17

1.08

스위스

26.8

0.27

9

스위스

175.75

1.48

체코

20.13

0.18

10

벨라루스

123.99

1.82

벨라루스

14.17

0.22

 

 

 

 

한국(14th)

2.49

0.05

 

합계

5,547.34

247.77

합계

705.28

28.62

[자료: 아제르바이잔통계청]

 

 

경쟁 동향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시장은 일반, 방수 등의 유형과 일반 생활용, 공연용 등 사용 유형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다.

 

시장의 주요 브랜드로는Loreal(로레알), Maybelline(메이블린), Vivienne Sabo(비비안 사보), Note(노트), Chanel(샤넬), KIKO Milano(키코 밀라노), Guerlain(게를레인), MAC(맥), NYX, Givenchy(지방시),Bourjois(부르조아), Riva(라이벌), Essence(에센스), Rare Beauty(레어 뷰티), Golden Rose(골든 로즈), Lancome(랑콤) 등이 있다.

 

패스포트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Passport Euromonitor International)의 2024년 4월 보고서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의 색조 화장품 브랜드 중 Golden Rose의 점유율이 12.1%로 가장 높았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마스카라 매출은 3,360만 마나트 (USD 1976만 달러)였으며 이 수치는 2022년보다 16.67% 증가한 수치로 시장의 빠른 성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마스카라의 2028년 매출은 4,040만 마나트(USD 2376만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2023년-2028년 마스카라 시장 규모 예측 >

(단위: 백만 마나트)

제품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마스카라

33.6

35.1

36.4

37.8

39.1

40.4

[자료: 유로모니터]

 

마스카라의 소매 가격은 원산지, 현지에서의 인기 그리고 특성에 따라 다르다. 매장의 설문 조사 및 수입상의 의견에 따르면 특히 브랜드와 상품 유형에 주의를 기울인다고 한다.

아제르바이잔의 마스카라 브랜드 중L’oreal(로레알), Bourjois(부르조아) , Maybelline(메이블린)은 일반 대중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주요 업체다. 아래 표에서 현지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마스카라 브랜드 제품과 가격을 정리하였다.

 

*가격은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단위로 표시된다 (USD 1.0 -> AZN 1.7 www.cbar.az )

 

< 현지에서 판매되는 주요 마스카라의 소매 가격 > 

브랜드명

제품 사진

가격 AZN/USD

IsaDora Big Bold Mascara

10.32 / 6.07

Essence I Love Extreme Crazy Volume Black Mascara

8.54 / 5.02

Bourjois Volume Glamour Max Definition 51

14.38 / 8.46

Mаybelline New York Lash Sensational Sky High

13.00 / 7.65

Max Factor False Lash Effect

15.60 / 9.18

Pupa Ultraflex

19.99 / 11.76

Collistar Infinito Mascara Extra Black

28.99 / 17.05

[자료: UMICO]

 

아제르바이잔 시장에서 한국 마스카라 브랜드는 토니모리, DV, 카탈리나지오, 이너프, 헤이미쉬, 미존 등이 있다. 아제르바이잔에서 잘 알려져 있고 검증된 다른 브랜드에 비해 한국 제품은 수입량과 판매 매장이 적어 점유율은 아직 낮은 편이며, 또한 한국 마스카라의 가격은 다른 중급 브랜드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 현지 시장에서 판매되는 한국 마스카라의 소매 가격 >

브랜드명

제품 사진

가격 AZN/USD

Heimish Dailism Smudge Stop Black

22.97 / 13.51

Enough Collagen Waterproof Volume Mascara

14.97 / 8.81

Mizon Collagen Curling Fix Mascara

22.00 / 12.94

[자료: UMICO]

 

유통 구조

 

HS 코드 330420 눈 화장용 제품의 주요 수입 및 유통업체는 다음과 같다.

 

< 주요 수입 및 유통업체 >

연번

회사명

성격

매장수

홈페이지

1

Adore Perfumery Cosmetics

수입자 및 소매점

16

https://adorebeauty.az/

2

Bahar Store

수입자 및 소매점

7

http://baharstore.az/

3

Cosmetic Corner

수입자 및 소매점

1

https://arzumbeauty.com/

4

Olivia Beauty and care

소매점

12

https://olivia.az/

5

Arzum Beauty House

소매점

7

https://arzumbeauty.com/

6

Nargiz Shop

소매점

6

https://www.instagram.com/

7

Bantik

소매점

6

https://bantik.az/

[자료: KOTRA 바쿠무역관]

 

한국 마스카라는 주로 한국 색조 화장품을 수입하는 수입업체를 중심으로 인스타그램 페이지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 한국 화장품의 인스타그램 홍보 화면 >

[자료: KOTRA 바쿠무역관]

관세율 및 인증

 

아제르바이잔 관세위원회에 따르면 HS 코드 330420에 해당하는 상품의 수입세는 15%, 부가가치세는 18%다. 

"위생 관리에 해당하는 상품의 통합 목록 채택에 관한 아제르바이잔 내각 법령 231호"에 따르면 마스카라는 위생 관리(HS 코드 33)의 적용을 받는다(https://e-qanun.az/framework/33103).

 

위생 증명서는 아제르바이잔 보건부 산하 위생 검역 검사에서 발급하며, 증명서는 국내 제품과 수입 제품 모두를 대상으로 발급되며, 위생 증명서를 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다.

 

1. 생산국의 관할 당국이 발행한 제품의 원산지 및 안전성 인증서의 공증된 역본 전자 사본. (문서 사본(종이))

2. 계약서 사본

3. 신청서

4. 주정부 관세 납부 서류

5. 수입자의 신분증

6. 위생 규범 및 규칙의 요구 사항에 대한 제조 기업의 준수에 대해 지역 국가 위생 감독 기관에서 발행 한 위생 관리 인증서의 전자 사본

7. 법률에서 요구하는 경우 특별 동의서 전자 사본

(https://e-gov.az/en/services/Info/3065/3)

 

제품의 위생 평가는 국가 위생 관리 기관의 실험실에서 수행 된 결과를 가지고 진행된다.

 

<위생 증명서 사진 샘플 >

[자료: https://solispharma.az/pages/INCUS.pdf ]

 

 

시사점

 

Bantik.az Company의 조달, 공급 및 물류 매니저인 니자트 마하라모프(Nijat Maharramov) 씨에 따르면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마스카라의 주요 브랜드는 주로 미국 제품으로 현지 소비자들이 수년 동안 사용해 왔고 충성도도 높다고 한다. 수년간 변하지 않은 시장 구조로 인해 새로운 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로레알, 메이블린, 비비안 사보(Loreal, Maybelline, Viviene Sabo.)와 같은 거대 브랜드의 점유율을 잠식하기는 쉽지 않다고 한다.

 

아제르바이잔에서 색조 화장품의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다.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이미 알고 있는 브랜드를 구매하나 광고와 판매 프로모션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아제르바이잔에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소비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색조 화장품 시장의 경우에는 더욱 중요하다. 뷰티 인플루언서들에 의해 대중화된 마스카라 트렌드는 빠르게 큰 관심을 끌며 특정 제품과 기능에 대한 수요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은 현지 시장 진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한다.

 

현지에서 K-Beauty 제품은 주로 스킨케어에 강점을 가지고 있고 색조 화장품의 점유율은 높지 않지만, 위에서 언급한 적절한 마케팅과 가격 전략이 합쳐진다면 충분히 진입 가능한 시장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자료: 아제르바이잔통계청, 유로모니터, UMICO, KOTRA 바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